10월 30일에 있었던 IBM developerWorks 대학생 모니터 월례모임에서는 한국 IBM GTS (Global Technology Service) 사업부의 김인철 상무님과 김무현 과장님이 오셔서 여러 이야기를 해주셨다.
dW 대학생 모니터 요원과 IT 실무자와의 만남 1: 한국IBM GTS사업부
“기술 서비스 베테랑을 통해 서비스 업무의 이모저모를 듣다”
라는 제목으로 dW 의 Special Issue에 게재되었다. 당장 나의 진로와 관계있는 분야는 아니었지만 IBM이라는, 솔직히 정확히 어떤 회사인지 잘은 모르던 회사가 ‘서비스’에 대해 어떤 비전을 가지고 시장을 공략하고 있는지를 가늠할 수 있는 자리였다.
(반쯤 가린 내 모습도 보인다 ㅋㅋ)
IBM은 90년대 초반 하드웨어 중심회사에서 서비스 중심회사로의 변신에 성공했다. 이에 따라 전세계적으로 현재 서비스 분야의 매출이 50%를 넘고 있다. (한국에서는 50%에 못 미친다) 업계의 선도적 위치에서 어떻게 변화를 이끌어 왔는지가 관심의 대상이었다. 그 답은 역시 ‘시스템화’, ‘자동화’ 였다. 이전부터 ‘게임의 룰을 만드는 사람’에서도 지적했듯이 이들은 이렇게 일반화하고 시스템화한 구조를 통해 세계시장을 대상으로 시너지를 창출한다. IBM에서는 ‘Service as a Product’ 라는 모토를 가지고 전세계의 영업기회들을 DB에 축적하고 6단계로 구분했다고 한다. 그리고 철저히 process를 엄수하도록 하여 risk를 최소화하였다. 여기서 생기는 두 가지 의문.
1) 절차에 지나치게 의존하면 순발력이 부족해지지 않는가?
-> 지속적 변화에 대한 노력으로 보완하려고 노력한다.
2) Globalization은 성공하였으나 Localization은 어렵지 않은가?
-> 오히려 지역마다 다르던 서비스들을 globally standardize함으로써 개별 사례에 대해 보다 넓은 시야를 가지고 대처하게 되었다.
이러한 방향성을 가지고 IBM은 성공적으로 변화에 대응한 것으로 보인다. 그렇다면 앞으로의 비전은 무엇인가? Hardware -> Service, 그 이후는 Software로 보고 있다고 한다. 앞으로 소프트웨어 업체를 여러 개 M&A 할 계획을 가지고 있고, Hardware의 가격인하, Service 끼워팔기의 전략 등을 통해 소프트웨어 부분을 강화할 것 같다.
사실 IBM의 주력인 분야에 대해 아는 바는 별로 없지만 요즘은 자꾸 ‘큰 기업이 더 민첩하게 움직인다’는 생각을 하게 된다. 보다 빠르고 정확하고 많은 정보를 바탕으로 큰 기업들은 오히려 군소업체들보다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하고 있는 것 같다. 작은 기업들의 기회는 어쩌면 더 사라지는 것일지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