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b2.0의 주도권은 진정 소비자에게 있는가?

이 글은 다음 글에 대한 트랙백으로 작성하였다.
http://dobiho.com/wp/wp-trackback.php?p=507

또한 HCI2007 학회의 ‘Web2.0: HCI를 위한 축복인가? 저주인가?’ 패널 토의에 대한 감상이기도 하다.

그와 동시에 Web2.0의 진정한 승자에 대한 번외편이기도 하다. 이 글에 기술했듯

웹 2.0 트렌드를 이끌고 있는 사이트 중 고유의 컨텐츠 (원료로서의 의미)를 생산하는 곳은 (거의) 없다. 다들 이미 있는 정보를 다양한 방식으로 조직하는 인터페이스와 소셜 네트워킹 공간을 제공해 줌으로써 대세로 자리잡은 곳들이다. del.icio.us – 즐겨찾기를 공유
flickr – 사진을 공유
digg – 뉴스를 공유
technotari – 블로그를 공유
netvibes – 각종 컨텐츠를 personalize하여 공유
wordie – 좋아하는 단어를 공유

정보의 생산이 아닌 representation과 공유, 참여에 대한 인터페이스로 승부하는 이들 업체들.

Web2.0의 흐름을 이끌어 가는 이들 업체들의 핵심은 컨텐츠 생산이 아닌 이미 생산된 (대부분 소비자에 의해) 정보를 다양한 방식으로 조직하는 인터페이스와 소셜 네트워킹 공간을 제공해 주는 것이다.
따라서 업체들의 입장에서는 정보의 생산보다는 정보의 효율적인 배치와 편하면서도 강력한 인터페이스가 차별화의 초점이 될 것이다.한편으로는 컨텐츠 생산과 소비에 있어서 Web2.0이 분명 소비자에게 주도권을 가져다 주기는 하지만 중간에서 정보를 재구성하는 업체들의 장악력 및 영향력은 오히려 커질 수도 있다는 생각이 든다.


만일 del.icio.us가 즐겨찾기를 보여주는 방식을 전혀 다른 알고리즘과 인터페이스로 제공한다면 일시에 우리가 세상을 바라보는 창 자체가 달라질 수도 있을 것 같다. 이들이 Big Brother가 되지 않도록 감시하는 것 역시 소비자의 몫이 아닐까?

정보가 유통되는 구조를 사용자들이 예전보다 훨씬 더 속속들이 알고 있으니 Big Brother의 횡포에 대해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으리라는 기대를 해본다. 그러나 눈에 띄지 않는 부분이나 뭐라 비난하기 애매한 부분에서의 정보조작도 가능하지 않을까. (이러니 꼭 음모론 추종자 같지만…)
공급업자의 신뢰성이 중요해지는 경우는, 심각한 경우 정보의 왜곡이나 의도적 변형, 순서변경, 중요도 조작 등이 있을 것이다. 보다 미묘한 부분은, 세션에서 M사의 패널도 이야기했듯 일부러 인터페이스를 어렵게 만든다거나 시간을 잡아먹는다거나 하는 경우이다. 결국에는 광고에 대한 노출을 길게 만들거나 곁다리 서비스 사용을 유도하는 것과 연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런 경우에 대해서는 1) 과연 이런 행위에 대해 공급자를 비난할 수 있는가? 2) 사용자는 얼마나 민감하게 이를 알아차릴 수 있을까? 하는 질문을 던져본다.

결국 앨빈 토플러가 ‘부의 미래’에서 이야기하듯 비화폐경제의 커다란 생산자인 프로슈머의 노력의 댓가가 기업에게 무상으로 제공되는 현상이 벌어지고, 기업은 이를 통해 오히려 생산자인 소비자에게 비용을 청구하는, 그런 일이 발생할 위험이 크다고 생각합니다. 프로슈머 (우리들!)은 결국 열심히 무료봉사하는 셈이 되는 것 아닌가 하는 것이다.